EREV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개념과 기술 장점 단점 개발 차량
EREV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의 개념과 기술

친환경차 시장의 확산과 함께 다양한 전동화 차량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EREV(Extended-Range Electric Vehicle,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는 순수 전기차(BEV)의 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전기차로 소비자들에게 현실적인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EREV는 배터리 기반의 전기차 구조를 중심으로 하되, 배터리 소진 시 내연기관 엔진을 발전기로 활용해 주행거리를 연장하는 기술을 채택한 차량입니다.
EREV의 핵심 개념: 전기 중심에 발전기를 더한 전동화 시스템
EREV는 기본적으로 전기모터로만 차량을 구동하며,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내연기관 엔진이 발전기 역할을 하여 배터리를 재충전하거나 모터에 전기를 직접 공급합니다.
즉, 내연기관이 바퀴를 직접 돌리는 방식이 아니라, 모터가 항상 차량을 움직이고 엔진은 ‘충전기’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EREV 시스템 구성과 주요 기능
EREV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순수 전기 주행: 충전된 배터리로 일정 거리(60~100km)까지 전기만으로 주행 가능
발전 모드: 배터리가 부족할 경우 내연기관이 작동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모터에 공급
회생 제동 시스템: 감속 시 회생 제동을 통해 에너지를 배터리에 재충전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배터리 셀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안전하게 충방전 제어
VCU(차량 제어 유닛): 차량 전체의 에너지 흐름과 작동 모드를 최적화하여 제어
EREV 구성 부품과 역할
EREV는 복합적인 전동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품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고전압 배터리팩: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며 주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구동 전기모터: 배터리 전력으로 차량을 직접 구동
내연기관 엔진: 모터를 직접 구동하지 않고 발전기를 작동시켜 전기 생산
제너레이터(발전기): 엔진의 동력을 전기로 변환
인버터: 직류(DC) 전력을 교류(AC)로 변환하여 모터에 공급
컨버터(LDC 등): 고전압에서 저전압으로 전력 변환하여 차량의 전장부에 전기 공급
VCU: 전체 구동 시스템의 제어 및 모드 전환 관리
냉각 시스템: 모터, 인버터, 배터리 등 발열이 있는 주요 부품의 온도 관리
실제 EREV 차량 모델 및 제조사 사례
현재 전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다양한 EREV 모델을 개발하거나 출시했습니다. 대표적인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쉐보레 볼트(Volt) – GM
전기주행거리: 약 85km
총 주행거리: 약 600km
1.5L 가솔린 엔진을 발전기로 사용
EREV의 대표적인 성공사례
✅ BMW i3 REx – BMW
전기주행거리: 약 130km (REx 모델 기준)
650cc 2기통 엔진 탑재로 발전
유럽과 미국에서 EREV의 대중화에 기여
✅ 라이싱크(Rising Auto) EREV – 중국 SAIC그룹
R7, F7 모델에 EREV 시스템 탑재
중국 내수 시장에서 급속히 확산 중
전기주행거리 100km 이상, 총 주행거리 1,200km에 달하는 모델도 있음
✅ 리샹(Li Auto) L7, L8, L9 – 중국 Li Auto
대형 SUV 중심의 EREV 모델 개발
1.5L 터보 엔진 + 전기모터 조합
총 주행거리 1,100km 이상
중국 내 패밀리카 시장에서 큰 인기
✅ 비야디(BYD) – 차세대 EREV 플랫폼 개발 중
EREV를 포함한 PHEV/EV 플랫폼 강화 중
디엔(DM-i) 플랫폼 기반 EREV 개발 발표
✅ 혼다 Clarity Plug-in Hybrid (실질적 EREV 구조)
전기주행 이후 엔진이 발전기로 작동
일반 하이브리드와 다르게 전기 중심 설계
EREV의 장점
EREV는 다음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되고 있습니다:
1. 전기차처럼 친환경적
도심 주행 시 배출가스 제로, CO₂ 감소 효과 뛰어남
2. 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 해결
배터리 소진 시에도 연료를 넣어 주행 가능하여 장거리 운행 부담 적음
3. 일관된 모터 주행 감각
항상 전기모터로 주행되기 때문에 주행 질감이 부드럽고 응답성이 뛰어남
4. 연비 및 효율성 우수
전기와 내연기관의 장점을 조화롭게 활용
EREV의 단점
반면, 아래와 같은 단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1. 복잡한 구조
전기 파워트레인과 내연기관이 동시에 존재해 차량 무게 증가 및 유지보수 복잡
2. 제작비용 상승
시스템이 복잡해 부품 수가 많아지고 가격이 상승
3. 순수 전기차 대비 이미지 부족
완전 무공해 차량은 아니므로 정부 보조금 혜택에서 제외될 가능성 있음
EREV와 유사한 전기차 비교
EREV와 자주 혼동되는 전기차 종류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EV (하이브리드 전기차):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바퀴를 구동
P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만으로도 일정 거리 주행 가능하나, 엔진이 바퀴를 직접 돌리기도 함
BEV (배터리 전기차): 순수하게 배터리와 전기모터로 구동
FCEV (수소전기차): 수소연료전지로 전기 생성하여 구동
EREV는 이들 중에서도 항상 모터만으로 차량을 구동하며, 내연기관은 오직 전기 생산용으로만 사용된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구별됩니다.
EREV는 과도기 전기차 시대의 최적 솔루션
충전 인프라가 아직 불완전한 현재, EREV는 전기차 전환기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Li Auto와 SAIC의 EREV 모델이 급성장 중이며, 유럽과 북미에서도 도심 위주의 전기 주행과 장거리 운행의 조화를 원하는 소비자에게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친환경성과 실용성, 주행 안정성을 모두 고려한 전기차를 찾는다면, EREV는 최적의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