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기본 구조

자동차 기능안전 Functional Safety 정의, 등급, 법규, 적용 사례 ISO26262 ASIL

Choi John 2025. 4. 2. 17:34
반응형

자동차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의 모든 것: 정의, 등급, 법규, 적용 사례
 



1. 자동차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이란?
 
자동차 기능안전(Functional Safety)이란 전자 제어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기능을 설계하는 개념이다. 이는 국제 표준 ISO 26262에 의해 규정되며, 자동차의 전자제어 유닛(ECU), 센서,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전장 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더라도 시스템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2. 기능안전의 등급(ASIL)
 
ISO 26262에서는 기능안전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등급을 정의하고 있다. ASIL은 위험 수준에 따라 A, B, C, D의 4단계로 나뉘며, D가 가장 높은 안전 등급을 요구한다.
 
ASIL A: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 수준 (예: 차량 내부 조명 시스템)
 
ASIL B: 중간 수준의 위험 (예: 파워 스티어링 보조 시스템)
 
ASIL C: 높은 수준의 위험 (예: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ASIL D: 매우 높은 수준의 위험 (예: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ADAS 기능)
 
 
3. 기능안전 관련 법규 및 표준
 
자동차 기능안전과 관련된 주요 국제 표준과 법규는 다음과 같다.
 
(1) ISO 26262
 
자동차 전자 시스템의 기능안전에 대한 국제 표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설계 시 안전 분석 기법(FMEA, FTA 등) 적용을 요구.
 
 
(2) UNECE R155 & R156
 
사이버 보안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관한 유엔 규정으로, 기능안전과 연계하여 고려됨.
 
 
(3) ASIL과 FMVSS
 
미국의 FMVSS(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에서도 기능안전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시하고 있음.
 

반응형

 
4. 기능안전 개발 과정
 
기능안전 개발은 일반적으로 V-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위험 분석 및 ASIL 결정: HARA(Hazard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기법을 통해 시스템의 위험도를 분석하고 ASIL 등급을 결정.
 
 
2. 기능 안전 개념 설계: 시스템이 오류 발생 시 어떻게 안전을 보장할 것인지 설계.
 
 
3. 기능안전 요구사항 정의: 시스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별 안전 요구사항 정의.
 
 
4. 시스템 및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구현: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방식으로 설계 및 개발.
 
 
5. 테스트 및 검증: FMEA, FTA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검증.
 
 
 
5. 자동차 기능안전 적용 사례
 
(1) 자율주행 차량의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차선 유지 보조(LKA), 자동 비상 제동(AEB) 등의 기능은 ISO 26262에 따라 높은 수준의 기능안전을 요구.
 
ASIL D 등급으로 설계되며, 이중화 시스템(Redundancy) 적용 사례가 많음.
 
 
(2) 전기차(EV)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배터리 셀의 과충전, 과방전을 방지하여 폭발 위험을 줄이는 기능.
 
ASIL C 또는 D 등급이 요구됨.
 
 
(3) 브레이크 시스템 (EBS, ABS)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며, 오류 시 기계식 백업 시스템을 제공해야 함.
 
 
6. 기능안전의 장단점
 
(1) 장점
 
차량 사고 예방 및 안전성 향상
 
자율주행 및 전자제어 시스템의 신뢰성 증가
 
글로벌 규제 준수를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
 
 
(2) 단점
 
개발 비용 증가 (안전 분석 및 테스트 비용 포함)
 
시스템 복잡도 증가로 인해 개발 기간 연장
 
이중화 시스템 적용으로 인한 차량 무게 증가 가능성
 
 
7. 향후 전망
 
자동차 기능안전은 자율주행, 전기차 시대에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ISO 26262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 표준 및 법규의 준수가 필수적이다. 특히 ADAS 및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ASIL D 수준의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AI 기반의 오류 예측 및 자가 복구 시스템 등이 기능안전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