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펜션의 종류와 구조
서스펜션은 4개의 타이어를 항상 노면에 접지시켜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조향과 구동력 전달을 담당한다. 사람에 비유하면 발바닥을 정확히 지면에 접촉하고 몸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민첩하게 움직이는 허리 아래의 뼈와 관절, 근육 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구성 부품은 휠의 바퀴를 지지하는 각종 암(arm) 또는 링크, 차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 서스펜션의 움직임을 빠르게 조절하는 댐퍼(또는 쇼크 업소버) 등이다. 각 요소의 지지부와 장착부에는 고무 부싱 을 비롯한 부품을 사용해서 승차감을 높였다. 이런 구성 부품들 가운데 특히 암 또는 링크의 모양과 배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서스펜션 형식이 있다.
스트럿
스트럿(strut)은 구성이 단순해서 가장 많은 차종에 쓰이는 서스펜션 형식이다. 하부의 로워암이 바퀴의 전후와 가로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고, 상단이 차체에 고정된 댐퍼와 스프링의 상하 방향을 지탱하는 구조다. 별다른 특징은 없지만 경쾌한 스티어링 휠링이 요구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댐퍼와 스프링이 실내 쪽으로 튀어나오는 구조라서 프런트서스펜션에 적용할 때가 많지만, 리어 서스펜션에 사용한 4륜 스트럿 자동차도 적지 않다.
더블 위시본
위시본(wishbone)은 두 갈래로 갈라진 새의 가슴뼈를 의미한다. 더블 위시본은 새의 가슴뼈처럼 두 갈래로 갈라진 암이 상하에 2개씩 배치된 서스펜션으로, 댐퍼와 스프링은 로워 암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더블 위시본방식의 이점은 타이어가 노면에 밀착되는 접지력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휠링을 중시하는 스포츠형 자동차에 많이 쓰인다. 강성이 높아서 4WD의 리어 서스펜션에도 많이 사용된다.
* 스태빌라이저 (stabilizer) 좌우 바퀴를 토션 바(비틀린 막대 형식의 스프링) 등으로 연결해 바퀴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장치.
* 고무 부싱 (rubber bushing) 서스펜션 암 등의 축 부분에 부착하는 고무 완충재,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토션빔
FF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에 많이 쓰는 서스펜션 형식, 비틀림을 방지하는 구조재의 양쪽 끝에 좌우 바퀴를 배치했다. 좌우의 휠은 반대쪽 바퀴의 움직임과 연동하면서도 빔이 비틀림에 따라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구조적으로는 리지드(Rigid) 타입이지만 독립 현가에 가까운 움직임을 보이는 반독립 현가라고 해도 무방한 방식이다. 댐퍼와 스프링을 분리 배치한 차종이 많지만, 조합한 것도 있다.
전자 제어 서스펜션
댐퍼와 스프링을 전자 제어로 컨트롤하는 서스펜션,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서스펜션 형식이 아니라 구성 부품을 컨트롤하는 방식을 뜻하지만, 댐퍼를 단독으로 조절하는 유형 외에 스프링에 금속이 아닌 에어 스프링을 이용하거나 댐퍼와 스프링의 역할을 에어 또는 유압으로 동시에 제어하는 유형도 있다. 에어 서스펜션을 쓴 자동차는 차고(車高)를 조절하는 일도 가능하다.
멀티 링크
이름처럼 복수의 암 또는 로드를 배치해 바퀴의 움직임을 컨트롤하는 서스펜션이다. 다른형식과 달리 이렇다 할 정형은 없으며, 스트럿이나 더블 위시본의 변형에 가까운 것도 적지 않다.
'자동차의 기본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어링의 구조 및 충전, 점화 계통의 구조 (0) | 2020.11.18 |
---|---|
브레이크의 종류와 구조 (0) | 2020.11.18 |
구동 계통의 구조 (0) | 2020.11.18 |
구동 방식과 엔진 레이아웃 (0) | 2020.11.18 |
엔진의 종류, 구조 및 작동 원리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