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 모빌리티쇼 완벽 정리: 참가 기업, 신차, 신기술 총정리
2025 서울 모빌리티쇼가 2025년 4월 3일부터 4월 13일까지 고양 킨텍스(KINTEX)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의 진화(Evolution toward Sustainable Mobility)’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단순한 자동차 전시회를 넘어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UAM(도심항공모빌리티), AI 로보틱스, 배터리 기술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총집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서울 모빌리티쇼란?
서울 모빌리티쇼는 기존의 ‘서울 모터쇼’에서 진화한 전시회로, 모빌리티 전환 시대에 발맞춰 친환경 에너지 기반의 이동수단과 지능형 교통 시스템, 차세대 배터리, 스마트시티 기술 등을 아우릅니다. 이번 2025년 행사는 총 11일간 약 120개 이상의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여 다양한 신기술을 선보였습니다.
참가 기업 및 핵심 전시 내용
1. 현대자동차그룹
- 신차 공개: 넥쏘 후속 수소 SUV 콘셉트, IONIQ 5 로보택시, 소형 UAM 기체
- 기술 포인트: 수소연료전지, 레벨4 자율주행, HMG 스마트시티 인프라
- 특징: 현대차는 자율주행 시연 구역을 마련하여 직접 체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HTWO' 브랜드로 수소 모빌리티 비전을 강조했습니다.
2. 기아
- 신차 공개: EV5, EV6 GT, EV9
- 기술 포인트: V2L 기능,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실내 무드 인터랙션 AI
- 특징: 기아의 EV5는 이번 행사에서 국내 첫 공개되며, 합리적인 가격대와 대형 전동화 SUV 라인업이 이목을 끌었습니다.
3. 제네시스
- 출품 차량: G80 전동화 모델, GV60, X 컨버터블 콘셉트카
- 기술 포인트: 전자식 차체제어(ECS), 듀얼모터 사륜구동, 럭셔리 맞춤형 UX
- 특징: ‘제네시스 하우스’ 테마로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며, 사용자 중심의 전동화 고급 기술을 전시했습니다.
4. 테슬라
- 주요 전시: 사이버트럭(Cybertruck) 국내 최초 실물 공개
- 기술 포인트: 스테인리스 외관, 4륜 조향 시스템, Full Self Driving(FSD)
- 특징: 미래지향적 디자인과 함께 전기 픽업의 실용성과 파워풀한 성능을 어필하며 관람객에게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5. 메르세데스-벤츠
- 전시 차량: EQE SUV, EQS 580 4MATIC, Vision EQXX
- 기술 포인트: 최대 주행거리 1,000km 전기차, MBUX 하이퍼스크린
- 특징: 지속가능한 프리미엄 모빌리티 철학을 강조하며, 차세대 전기 플랫폼(EA 플랫폼)도 함께 소개되었습니다.
6. BMW
- 신차 전시: iX5 Hydrogen, i5 M60 xDrive
- 기술 포인트: 수소연료전지 기반 SUV, 스포츠 전기차의 고성능
- 특징: BMW는 전기차 라인업 외에도 수소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다양한 연료 체계를 선보였습니다.
7. 폭스바겐
- 전시 모델: ID.4, ID.7 콘셉트, ID.Buzz
- 기술 포인트: MEB 전기차 플랫폼, 인공지능 기반 주행 지원 시스템
- 특징: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전기 밴 ID.Buzz가 특히 인기 있었으며, 실용성과 감성 디자인의 조화를 강조했습니다.
최신 기술 트렌드 요약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두드러진 기술 트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율주행 기술의 진보: 레벨 3~4 기술 탑재 차량 증가, AI 기반 예측 주행 시스템
-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다수 공개: SK온,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3사가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일정을 2027~2028년으로 제시
- UAM 기술 본격 등장: 현대의 ‘Supernal’ 외에도 국내 스타트업 ‘플라나’가 UAM 기체 공개
- 로보틱스와 차량 융합: 현대차 ‘DAL-e 로봇’, 삼성전자 AI 인터페이스 시스템 첫 공개
서울 모빌리티쇼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5 서울 모빌리티쇼는 단순히 신차를 구경하는 공간을 넘어,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혁신의 장입니다.
지금은 모빌리티 산업이 전기화, 자율화, 공유화, 연결성(CASE)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이 같은 전시회는 소비자뿐 아니라 산업 종사자, 스타트업, 투자자 모두에게 의미 있는 자리입니다.
요약
서울 모빌리티쇼는 매번 ‘현재의 기술’과 ‘다가올 미래’를 동시에 보여주는 행사입니다.
EV5, 사이버트럭, 수소 SUV, 전고체 배터리, 자율주행, UAM 등 이번 행사에서 소개된 기술들은 2025~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으며, 우리는 그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관람을 놓쳤다면 지금이라도 주요 기업의 홈페이지나 유튜브 채널을 통해 기술 및 차량 정보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자동차의 기본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배터리팩 설계 방식 셀투팩, 셀투바디, 모듈 방식 차이점과 적용 사례 cell to pack body (16) | 2025.04.07 |
---|---|
자동차 자율주행 Autonomous Driving 기술 SAE 레벨, 법규, 특징 및 최신 개발 동향 (16) | 2025.04.03 |
자동차 기능안전 Functional Safety 정의, 등급, 법규, 적용 사례 ISO26262 ASIL (13) | 2025.04.02 |
자동차 샤시 chassis 종류, 구조, 장단점 및 최신 개발 현황 모노코크 프레임 바디 (9) | 2025.04.01 |
현대 기아 전기차 종류 및 모델별 특징, 장단점, 신기술 적용 현황 (5) | 2025.03.31 |